생활에서 발생하는 소비를 최소화하고 이를 저축 및 투자 여력에 활용하는 것이 재테크 입니다. 오늘은 고정 지출 중에 출퇴근 교통비를 아낄 수 있는 방법입니다. 대중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는 카드로 알뜰교통카드 먼저 발급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중교통을 보다 자주 이용하는 분들을 위한 기후동행카드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기후동행카드 소개
월 1회 요금 충전 후 대중교통(지하철, 버스, 따릉이자전거)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도록 신설한 정기권 개념으로 보면 됩니다. 이미 유럽 등에 시행되고 있는 무제한 교통카드를 서울에서 차용한 것이며 대중교통 이용을 통해 탄소 배출을 줄이고자 하는 취지입니다. 실질적으로 먼저 시행한 독일에서는 탄소배출이 기존대비 감소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다만 재정적 여유가 우리나라는 다릅니다. 예시로 독일은 사업비를 정부와 지자체가 부담하는 반면 한국의 기후동행카드는 절반은 서울시, 절반은 운송회사에서 부담하게 됩니다. 이 점이 사업 지속성을 볼 때 의문점으로 남아있습니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서울 내 노선에서만 무제한 이용이 적용되고 있으며 인천시와 김포시도 추가될 예정으로 협의 중에 있습니다.
2. 카드 발급 및 사용
카드는 실물, 모바일 카드로 나눠집니다. 발급 내용과, 사용에 대해 간단히 소개드리겠습니다.
모바일카드는 티머니 앱을 사용하여 발급합니다. 많은 분들이 이미 아시는 것 처럼 아이폰에서의 티머니는 아직 서비스가 개시되지 않아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사용하시는 분들만 발급 가능합니다. 충전 방법은 티머니 앱에서 계좌이체하여 충전합니다. 실물카드의 경우는 카드 발급비가 들어갑니다. 3천원이며 1~8호선의 지정된 고객안전실 및 편의점에서 발급합니다. 충전방법은 지하철 1~8호선, 9호선, 우이신설선, 신림선 역사에 위치한 무인 충전단말기에서 현금 충전해야 합니다. 한달에 한번이지만 잠깐 충전단말기를 들러야 하니 약간 불편이 따른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정기권 가격에 따른 차이점이 있습니다. 지하철, 버스만 무제한 탑승하는 정기권은 62,000원이며 따릉이 추가시 65,000원입니다. 대신 따릉이의 경우는 1시간 이용권으로 그때 그때 제공되는 방식이라 1시간 초과 이용시 요금이 부과되며 추가 요금 없이 이용하기 위해서는 1시간에 맞춰 이용한 후 반납하고 그 자리에 다시 빌려야 합니다.
3. 효용성 및 유의점
62,000원 혹은 65,000원 짜리 무제한 이용권이긴 하지만 기존의 알뜰교통카드 혹은 5월부터 서비스 예정인 K패스와 비교하여 일정 탑승횟수를 넘는지를 판단하여 접근해야 합니다. 요금을 1500원 수준이라고 가정하면 약 45 이상의 탑승실적이 나와야 기존 환급 할인 혜택이 있는 알뜰카드 대비 효율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50회 탑승이라고 가정하면 매일 왕복 탑승을 25일 이상 반복해야 하므로 출퇴근을 대중교통으로 하시는 분들 주말에도 대중교통을 통해 나들이 가시는 분들에게 추천드리는 제도입니다.
유의할 점에 대해 설명드리면 카드가 1인 대상으로 발급되기 때문에 다인승 탑승, 즉 다른 사람 탑승시 카드를 대신 태그해 주는 기능이 되지 않습니다. 또한 목적지 도착시 필히 카드 태그를 해야 탑승 이력을 확인하여 실적화 하기 때문에 하차태그를 꼭 해야 합니다. 미태그 2회 이상 누적시 24시간 동안 카드 사용을 할 수 없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당 패널티는 월별 초기화되지만 사용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4. 기후동행카드 서비스 지역 확대
서울시에서 먼저 제도 발표 후 인천시, 이어서 김포시 24년도에는 군포시, 과천시 순으로 제도 참여 업무 협약을 했습니다. 정확한 시기는 각 지자체별 조율 중입니다. 하반기쯤 되면 서울을 벗어나더라도 탑승 실적이 인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대중 교통의 범위가 광역버스가 있기 때문에 지하철, 해당 지자체 내 시내버스가 아니라면 서울시와는 다른 가격을 책정하여 운영될 예정입니다. 약 10만원 선에서 논의 되고 있습니다. 환경을 지키고자 나온 제도인 만큼 전체적으로 확산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입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홈택스 간소화 및 공제항목 챙기기 (0) | 2024.02.17 |
---|---|
한전에너지캐시백 내용 및 신청방법 (0) | 2024.02.15 |
엔저 재테크, 엔화 투자하기 (0) | 2024.02.13 |
배당주의 의미와 종류, 장단점 (0) | 2024.02.09 |
금 재테크, 금 투자방법 소개 (0) | 2024.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