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까지도 엔화가 이전 환율 대비 많이 저렴해졌습니다. 이른바 엔저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일본을 방문하는 여행객들이 많아지는 추세입니다. 이 과정에서 환율이 충분히 저점이라고 생각하는 투자자들을 중심으로 엔화투자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엔화뿐만 아니라 증시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마치 80년대의 일본 경제를 보는 것 같습니다. 엔화 통해 환차익을 얻는 이른바 엔테크 방식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목차]
1. 엔화 환전을 통한 환차익
엔화 투자 방법은 크게 직접투자와 간접투자로 나뉘게 됩니다. 그 중 직접 투자는 엔화를 실제 매매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환차익 투자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직접 내 손에 현금을 쥐게 되지만 거래시마다 수수료가 든다는 제약이 있습니다. 어차피 일본에서의 비지니스가 있으신 분들은 관계없지만 점점 온라인으로 거래가 되는 상황에서는 엔화 직접 투자의 매력도는 떨어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한국에서의 가능한 엔화 거래 카드의 대표적인 예는 트래블월렛입니다.(하나카드) 엔화 환전 수수료가 무료로 일본 여행가시는 분들의 필수 아이템입니다. 트래블월렛은 내 연결 계좌에서 바로 엔화 충전을 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방법을 활용하여 엔화가 쌀 때 엔화를 사두고 엔화가 올랐다 싶으면 환불을 하는 방법으로 환차익을 누릴수도 있습니다. 매수/매도시 금액 한도는 200만원임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카드를 만들어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드렸지만 이외에도 온라인 환전 가능한 플랫폼도 다 가능합니다. 증권사 계좌를 이용하여 엔화를 환전하는 과정에서의 환차익을 실현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인 은행 환전보다 환전 수수료가 싸서 장점입니다. 처음 가입하게 되면 환율 우대 혜택도 있기 때문에 증권사 계좌만 잘 활용하셔도 엔화 투자가 가능합니다. 다음은 은행의 환전 계좌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환율 우대율이 80~90%로 요즘과 같이 엔화가 저평가 되었을때는 환전수수료가 들더라도 차익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환전계좌는 KB, 하나, 우리, 신한은행 등이 있습니다.
2. 엔화 상품에 투자
펀드에 투자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때 그때의 수동으로의 거래를 하지 않고 운용사에 맡겨서 보다 편한 방법의 투자 방법입니다. 다만 수익이 발생하면 배당소득세 15.4%와 운용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미래애셋의 TIGER 일본엔 ETF 상품입니다. 조금 더 공격적인 투자 방법도 있습니다. 바로 일본 증시 내 ETF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일본 증시에 투자하는 의미는 엔화 환전하여 투자하는 것이고 ETF 중에 가격이 오르는 상품에 투자하면 나중에 상황에 따라 매도시 ETF 수익과 환전으로 인한 엔화 환차익도 얻으실 수 있습니다. 금리가 급격히 상승할 때 미국 국채 펀드에 투자하는 것이 수익이 좋은데 이를 접목하면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됩니다. 다음 방법은 일본 주식을 사는 것입니다. 요즘 일본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이전 일본의 경제활황기를 보여주는 듯 합니다. 일본 기업에 대한 지식이 있으시다면 일본 증시에 직접 투자하는 방법도 좋겠습니다.
3. 엔저 현상과 기회에 대해
최근 들어 엔저 현상이 심화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통화 정책의 이유가 큽니다. 미국의 경우 기준금리를 연속적으로 올려왔으나 일본의 경우는 양적완화 및 저금리 정책을 고수했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엔화의 매력도가 낮아져 달러로 돈이 모이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상황이 그러니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어 엔화 환율이 낮아지는 이른바 엔저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영원히 엔화가 저렴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지금만 해도 저평가라고 여기는 투자자들이 많고 돈이 다시 일본쪽으로 몰리게 되고 경기도 되살아나면 엔화가 가격을 점점 회복할 거라는 전망이 있습니다. 한 예로 BOJ(Bank Of Japan, 일본은행)에서는 완화에서 긴축으로 변경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는 현재 일본 투자가 활황기임을 반증하고 있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엔저, 엔고 상황을 잘 분석하셔서 투자에 성공하시면 좋겠습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전에너지캐시백 내용 및 신청방법 (0) | 2024.02.15 |
---|---|
교통비 절약하기, 기후동행카드 소개 (0) | 2024.02.14 |
배당주의 의미와 종류, 장단점 (0) | 2024.02.09 |
금 재테크, 금 투자방법 소개 (0) | 2024.02.09 |
ISA 계좌의 개념 및 장단점 (0) | 2024.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