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파킹통장이라고 해서 저축은행 등에서 출시하는 입출금 통장이 있습니다. 앞서 소개드린 CMA 통장보다 이율이 더 높고 일반 통장 수준의 입출금이 자유롭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제2금융권이기는 하지만 금융권의 예금자보호도 받을 수 있는 상품으로 비상금 및 생활비 통장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통장의 특징과 어떤 통장 이율이 높은지 소개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목돈 마련을 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아래 내용을 참조하십시오.
[목차]
1. 파킹통장의 발생, 의미
Parking과 통장의 합성어이며 말 그대로 주차하듯이 자금을 잠시 거치하기도 하고 빼는 용도로 사용하는 통장입니다. 상품에 길게 거치할 필요없고 현금 유동성이 필요한 경우에 추천됩니다. 보통은 생활비 등 수시로 사용해야 하는 자금에 대해서 사용하는 계좌인데 대부분 1금융권의 자유 입출금 통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통장은 장기간 자금이 거치되어 있어서 예금은 0.1~0.2% 금리 수준으로 거의 제로에 가까워 저금통 수준에 가까운 계좌입니다. 따라서 이자로 수익을 얻기위해서는 다른 상품을 통해서 이자소득 등을 발생시켜야 합니다. 바로 이 부분을 인터넷 은행이 우후죽순 생기면서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상시 입출금 통장에도 높은 이율을 주기 시작했습니다. 파킹통장은 그 과정에서 생겨난 말로 특별한 의미가 있다기 보다는 시중 일반 계좌 대비 금리는 높으면서 자유 입출금이 가능한 계좌를 뜻합니다. 요즘과 같은 고금리 시대에 적합한 통장으로 각광받는 이유입니다.
2. 파킹통장 소개
고금리 파킹통장을 알아보실 것입니다. 몇 가지 상품을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요점을 말씀드리면 본인이 소유한 목돈에 따라 가입할만한 상품이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소개 드린 상품 외에도 여러 금융사의 상품이 있으므로 본 포스팅에서 기본적인 이해를 하시고 여러가지 상품 비교를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첫째 OK 저축은행의 OK읏백만통장 입니다. 1인 1계좌 개설이며 100만원 이내의 생활비를 넣어 사용할 경우 무려 5%의 금리를 적용합니다. 우대금리 적용은 마찬가지로 은행 및 증권사 오픈뱅킹 등록입니다. 소액으로 사용하실 분들에게 강력추천드리는 통장입니다.
둘째 다올저축은행의 Fi 커넥트 통장입니다. 1인 1계좌 개설 원칙이며 최고 금리는 3천만원까지 예치했을 때 4% 이자를 줍니다.(우대금리 적용시) 이자는 매월 지급되는 형태입니다. 우대금리는 1% 적용되며 적용 조건은 시중은행 및 증권사 뱅킹 등록입니다.
셋째 신한저축은행 참신한 파킹통장입니다. 1억원 이하 3.5%의 금리를 제공하고 있어 큰 금액을 거치하실 분들에게 추천드리는 통장입니다. 이자는 매달 지급이며 생활비와 각종 목돈을 나눠서 운용하고자 한다면 목돈을 잠시 파킹하는 용도로 적합해 보입니다.
이상 소액부터 큰 금액까지의 활용해 볼 수 있는 파킹통장을 소개드렸습니다. 금리를 높게 받을 수 있는 조건들을 설명드렸는데 가입에 앞서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어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3. 가입시 유의사항
우수한 혜택을 제공하는 만큼 무조건적인 가입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몇 가지 조건이 있을 수 있기때문에 이 점에 유의하셔서 각 상품을 잘 비교하시기 바랍니다. 조건부 가입에 대해 설명드리면 처음 가입시 한도제한 및 실적 채우기, 자동이체를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이자 제공방식도 확인하셔야 합니다. 일 지급, 월 지급, 분기 지급 등이 있어 검토하셔야 합니다. 보통은 월 이자 형태로 제공합니다. 요즘 금리 상승으로 인해 이전에 가입했던 계좌에도 적용된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상품의 경우 신규로 통장 개설을 해야만 올라간 금리가 적용되기 때문에 혜택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꼭 확인해야 할 정보입니다.
나머지는 기본적인 사항으로 이자소득세까지 계산하여 내 손에 쥐는 실제 수익을 계산하셔야 합니다. 또한 입출금시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어 이 점도 눈여겨 봐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예금자보호를 받는 상품이긴 하지만 예외적으로 보호 받지 못하는 상품인지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약통장 개념과 청년을 위한 청약통장 소개 (0) | 2024.02.09 |
---|---|
연금 재테크 IRP 알아보기 (0) | 2024.02.06 |
재테크의 기본, CMA 입출금 통장 (0) | 2024.02.05 |
ETF 개념, 역사와 투자방법 (0) | 2024.02.05 |
앱테크의 의미, 종류 및 활용 (0) | 2024.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