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재테크의 기본, CMA 입출금 통장

by 리치베어 2024. 2. 5.
반응형

재테크를 결심하셨다면 먼저 시작하셔야 하는 것은 입출금 계좌를 개설하는 것입니다. 입출금도 자유로운 대신에 이율도 일반 통장보다 높은 CMA 통장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목차]

1. CMA 통장이란

CMA(Cash Management Account)는 종합자산관리계좌라고 하며 보통 여러 증권사 등에서 개설할 수 있는 계좌입니다. 금융사 및 증권사는 계좌 개설자의 예금을 활용하여 국공채나 CD증서(양도성예금증서), 회사채 등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품을 매수 및 운용하여 수익을 내는 금융 상품입니다. 대신 발생한 수익의 일부를 이율 형태로 일부 분배해주기 때문에 일반 통장 대비 이율이 높습니다. 증권사가 가지고 있는 은행의 자유입출금 통장 같은 것이라고 보면 되나 투자의 개념도 있다는 것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수익화를 위해 안정적인 자산에 투자한다는 것이지 예금자 보호 개념이 없음을 인지하고 계셔야 합니다.

 

2. CMA의 종류

CMA는 어떤 것에 주로 투자하냐에 따라 종류가 나뉘게 되며 주로 5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RP, 종금(종합금융), MMF형, MMW형, 발행어음형이 있습니다. 개설시 어떤 종류로 할지 잘 이해하시고 선택하셨으면 합니다. 하나씩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첫째 RP형 입니다. RP라고 하면 Repurchase Agreement로 환매조건부 채권이라고 합니다. 조금 더 풀어서 설명드리면 계좌 개설자에게 얼마나 돌려줄 수 있는지 이미 약속이 되어 있는 채권입니다. 채권 발행자의 증권사를 놓고 보면 채권 담보로 몇개월에서 길면 1년까지 거치하는 단기 상품에 투자하여 수익을 얻으면 계좌에도 일정 수익(이율 개념)을 돌려주는 유형입니다. 국공채 등 안정적이라는 인식이 많으며 출시된 CMA 상품 중에서도 주로 개설된 것이 RP형 계좌입니다. 다만 투자형 상품으로 원금보장이 되지 않으나 국공채를 예를 들면 나라가 망하지 않는 이상 안전하다 여겨집니다.

둘째 종금형(종합금융사) 입니다. 종합금융사에서 취급되는 상품입니다. 증권사에서 운용하지 않기 때문에 최대 5천만원까지의 예금자보호를 적용 받게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가장 안전한 계좌로 꼽힙니다.

셋째 MMF형 입니다. MMF는 Money Market Fund의 의미로 단기금융상품을 단위 펀드로 묶어서 운용하는 방식입니다. 실적배당형 상품에 투자되어 이에 따른 손익이 발생합니다. 저금리 기조에서 추천되는 유형이며 입출금의 경우 당일 입금, 익일 출금이 가능합니다.

넷째 MMW형 입니다. MMW는 Money Market Wrap으로 증권사가 한국증권금융에 다시 맡겨서 운용하는 유형입니다. 일일 정산시 발생한 원리금과 수익을 익일에 재투자하는 방식입니다. 수익이 꾸준히 나는 경우 복리의 효과를 누릴 수 있어 장기거치 할수록 좋습니다.

다섯째 발행어음형 입니다. 증권사 발행 어음을 팔아서 그 자금으로 운영하는 유형입니다. 어음 발행은 자기자본 4조 이상인 메이저 증권사만 발행이 가능합니다. 이에 증권사의 신용 그만큼 중요합니다. 리스크가 따르긴 하지만 CMA 계좌 중에 가장 높은 이율을 자랑합니다. 이 때문에 RP형처럼 많이 개설되는 유형입니다.

 

3. 어떤 장단점이 있나요

대표적인 장점으로는 은행 자유 입출금 통장보다 이율이 높다는 것입니다. 더욱이 종금형일경우 예금자 보호법까지 적용받아 생활비 통장으로 추천되고 있습니다. 또한 일 단위 이자로 복리의 효과를 누릴 수 있어 장기 거치할 경우 은행 통장보다는 추천하는 계좌이기도 합니다. 금융공동망도 가입이 되어 있어 온라인 계좌이체나 공과금 등 이체가 가능합니다. 또한 주식 계좌로서도 활용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입니다.

단점으로는 입출금이 일반 통장보다는 비교적 불편합니다. ATM을 이용한 현금 입금의 경우에도 안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보통 밤12시 ~ 오전 7시는 보통 펀드 상품과 채권, 주식 정산이 실행되므로 조회, 입출금을 할 수 없습니다. 이에 점검시간 임에도 불구하고 출금 및 결제가 가능한 CMA도 출시가 되기도 했습니다.

반응형